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오디오 텍스트 변환
- 맥 받아쓰기
- 블랙쉽
- mac 받아쓰기 설정
- 글로벌 MBA
- 플로우 방법
- 청소년 추천 도서
- 자산 책 추천
- 30대 필독
- 목적 찾는 법
- 내 강점
- 책 추천
- 30살 추천 도서
- 장점 5가지
- 온라인 파트타임 MBA
- 자산늘리는법
- 글로벌 MBA 비용
- 몰입 책 후기
- 강점 5가지
- 받아쓰기 설정
- 30대 필독서
- 자신에게 할 질문
- 몰입 줄거리
- 자기계발서 추천
- 강자의 언어
- 내 장점 찾기
- MBA 비용
- 20살 추천 도서
- 몰입하는 방법
- 돈의 속성이란
- Today
- Total
Let's enjoy our life
스티브 잡스가 사랑한 의사결정 방법 : DRI 본문
스티브 잡스가 사랑한 의사결정 구조 : DRI
적극적인 오너십을 바탕으로 일하며 결과를 내주길 바람
DRI : Directly Responsible Individual. 애플이 개념화하기 시작
잡스가 책임자를 두기 위해 DRI 개념을 사용
전략을 구상한 팀원 vs 의사결정을 해준 팀장. 누구 잘못인가? => 상위 직급이 아니라 제일 잘 아는 사람이 해야지!
DRI의 3가지 변수 : 결정, 실행, 책임
DRI의 핵심 = '의사결정을 하는 사람과 = 실행하는 사람과 = 그 실행의 결과에 대해 책임을 맡아야 하는 사람'
DRI에서 “책임”의 영역은 “탓” 이 아니라 “배움”의 주체를 정하는 관점
가설을 검증하는 구조로 가는 의사결정이라 특릴 확률이 더 높음
책임은 뒤집어 쓰는 것이 아니라 배움의 주체가 책임의 주체
한 번 배우고 끝나는 식은 안됨
DRI를 도입하기 어려운 경우
문화로 자리 잡기 쉽지 않음
다음과 같은 일이 발생
“당신이 ‘우리 조직은 DRI가 실무자에게 있다’고 했으면서 왜 나는 당신을 설득하는 데에 더 많은 시간을 들여야 하나요? 답정너 아닙니까?”
이런 경우
회사가 팀원에게 아직 DRI를 줄 정도로 신뢰하지 못했는데,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
고객의 니즈나 논리적 가설을 통해 의사 결정을 전하는게 아닌 경험이나 주관으로 일을 끌고 가는 경우
직관을 통핸 의사결정. 이럴 때 와일드 카드를 사용해서 가끔은 꺾을 수 있음. 그러나 이걸 당연하게 생각하지 말고 충분히 미안해야 함
DRI 프레임워크로 일할 때 경계하는 것은 조직의 의사소통을 수직적으로 만드는 것. 결정은 수직이 맞음. 그러나 소통도 수직이면 말을 꺼내지 않음
진정 위대한 조직은, 의사는 수평적으로 하고 결정은 수직적으로 하는 구조에서 탄생
https://careerly.co.kr/comments/101862